췌장암 등통증 위치, 통증 완화를 위해 피해야 할 자세



등이 뻐근하고 아픈데, 단순 근육통인 줄 알고 파스만 붙이고 계신가요? 혹시 밤마다 통증이 심해져 잠을 설치고, 앉아 있거나 누워도 통증이 가시지 않아 불편함을 겪고 계신가요? 이러한 증상이 지속된다면 단순히 넘길 일이 아닐 수 있습니다. 등 통증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침묵의 암’이라 불리는 췌장암의 신호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췌장암 등 통증, 핵심만 콕콕

  • 췌장암으로 인한 등 통증은 주로 명치 뒤쪽이나 등 중앙, 왼쪽 등에서 나타납니다.
  • 자세를 바꿔도 나아지지 않고, 밤에 더 심해지는 깊고 묵직한 통증이 특징입니다.
  • 단순 근육통이나 허리 디스크와 달리, 몸을 앞으로 숙이거나 등을 굽히면 통증이 다소 완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췌장암 등 통증, 도대체 어디가 어떻게 아픈 걸까?

췌장은 복부 깊숙한 곳, 위의 뒤쪽에 위치해 척추와 가깝습니다. 이러한 췌장 위치 때문에 종양이 생겨 주변 신경을 누르면 복통뿐만 아니라 등이나 허리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사통’ 또는 ‘연관통’이라고 합니다. 통증의 위치는 암이 췌장의 어느 부분에 생겼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췌장 머리: 이 부분에 암이 생기면 담관을 압박해 황달 증상이 흔하게 나타나며, 명치 통증과 함께 오른쪽 등으로 뻗치는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췌장 몸통, 꼬리: 암이 췌장 몸통이나 꼬리 쪽에 발생하면 명치 뒤쪽 등 중앙이나 왼쪽 등, 심하면 허리 통증까지 유발할 수 있습니다.

췌장암으로 인한 통증은 겉이 아픈 느낌보다는 속에서부터 느껴지는 깊고 묵직한 통증, 혹은 찌르거나 찢어지는 듯한 통증 양상을 보입니다. 또한, 일시적으로 나타났다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통증이 특징이며, 특히 밤에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거 그냥 허리 디스크 아니야? 췌장암 등 통증과 일반 요통의 차이

많은 분들이 등이나 허리가 아프면 허리 디스크나 단순 근육통을 먼저 떠올립니다. 하지만 췌장암으로 인한 등 통증은 일반적인 근골격계 질환과 몇 가지 차이점을 보입니다. 아래 표를 통해 두 질환의 차이점을 확인해 보세요.

구분 췌장암 등 통증 일반 요통 (허리 디스크, 근육통)
주요 통증 위치 명치 뒤쪽, 등 중앙, 왼쪽 등 허리 중앙, 엉덩이, 다리 저림 동반
통증 양상 깊고 묵직함, 찌르는 느낌, 지속적임 뻐근함, 결리는 느낌, 특정 동작 시 악화
자세 변화와 통증 누우면 악화, 몸을 앞으로 숙이면 완화 누우면 완화, 허리를 숙이거나 앉아있으면 악화
통증 시간 밤에 더 심해지는 경향 주로 활동하는 낮 시간에 심하고 휴식 시 완화
동반 증상 황달, 체중 감소, 소화불량, 지방변, 당뇨병 등 다리 저림, 감각 이상 등 신경학적 증상

통증 완화를 위해 피해야 할 자세와 도움이 되는 자세

췌장암으로 인한 등 통증은 자세에 따라 통증 강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췌장이 등 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똑바로 누우면 종양이 척추 신경을 더 압박하여 통증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통증이 심할 때는 다음과 같은 자세를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되는 자세

  • 몸을 앞으로 숙이는 자세: 의자에 앉아 상체를 앞으로 숙이거나, 옆으로 누워 무릎을 가슴 쪽으로 당겨 등을 둥글게 마는 자세(태아 자세)는 복강 내 압력을 줄여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옆으로 눕기: 똑바로 눕기보다는 옆으로 누워 자는 것이 통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통증 악화를 유발해 피해야 할 자세

  • 똑바로 눕는 자세: 척추를 압박하여 통증이 심해질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허리를 뒤로 젖히는 자세: 스트레칭을 위해 허리를 뒤로 젖히는 동작은 오히려 통증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등 통증 외에 주목해야 할 췌장암 초기증상

등 통증이 나타날 정도면 이미 암이 꽤 진행된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다른 동반 증상을 함께 살펴보는 것이 조기 진단에 매우 중요합니다. 다음과 같은 증상이 등 통증과 함께 나타난다면 반드시 소화기내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 황달: 눈의 흰자위나 피부가 노랗게 변하고, 소변 색깔이 갈색 소변으로 짙어집니다.
  • 체중 감소와 식욕 부진: 특별한 이유 없이 몇 달에 걸쳐 체중이 눈에 띄게 줄어듭니다.
  • 소화불량 및 복부 팽만감: 음식을 조금만 먹어도 배가 부르고 더부룩한 느낌이 지속됩니다.
  • 대변의 변화: 기름지고 양이 많으며 심한 냄새가 나는 지방변이나 회색변을 볼 수 있습니다.
  • 새롭게 발생한 당뇨병: 가족력 없이 갑자기 당뇨병 진단을 받거나, 기존에 있던 당뇨병이 혈당 조절이 잘 안되는 경우 췌장암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만성 췌장염이나 급성 췌장염, 심지어 담석증과 같은 다른 질환에서도 나타날 수 있지만, 췌장암의 위험인자(흡연, 비만, 50대 이상, 췌장암 가족력 등)를 가지고 있다면 더욱 세심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복부 초음파, CT, MRI, 내시경 초음파(EUS)와 같은 검사가 필요하며, 종양 표지자 검사(CA19-9)가 보조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