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핑이나 텃밭 가꾸기 같은 야외 활동을 즐기다 녹슨 못에 찔린 경험, 있으신가요? 혹은 귀여운 반려동물과 놀다가 생각보다 깊게 할퀴거나 물린 적은요? 순간 ‘아차!’ 싶으면서 머릿속에 스치는 단어, 바로 ‘파상풍’입니다. 당장 병원에 가야 할 것 같은데, 파상풍 주사 가격은 얼마인지, 어떤 병원으로 가야 하는지, 추가 접종은 언제 해야 하는지 막막하기만 합니다. 이런 고민, 한 번쯤 해보셨을 겁니다.
파상풍 주사 핵심 정보 3줄 요약
- 파상풍 주사 가격은 병원 종류(의원, 종합병원, 보건소)와 백신 종류(Td, Tdap)에 따라 다르며, 보통 3만 원에서 5만 원 사이입니다.
- 성인은 파상풍 예방을 위해 10년마다 추가 접종(부스터샷)이 권장됩니다.
- 상처가 나서 맞는 ‘치료 목적’의 주사는 실비보험 청구가 가능할 수 있지만, 주기적으로 맞는 ‘예방 목적’의 접종은 비급여 항목으로 보험 적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파상풍, 알면 이길 수 있습니다
도대체 파상풍이 뭐길래?
파상풍은 ‘클로스트리듐 테타니’라는 균이 만들어내는 강력한 신경독소 때문에 발생하는 무서운 질병입니다. 이 균은 흙이나 먼지, 동물의 분변 등 어디에나 존재할 수 있죠. 주로 녹슨 못이나 더러운 가시, 동물 교상 등으로 생긴 깊은 상처(자상)를 통해 우리 몸으로 들어옵니다. 감염되면 잠복기를 거쳐 근육이 뻣뻣해지고, 특히 턱 근육이 경직되어 입을 열기 힘든 ‘아관긴급(개구장애)’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하면 전신에 근육 경련을 일으키고 호흡 곤란으로 이어져 치사율이 높은 위험한 질병이므로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나에게 맞는 백신 종류는?
파상풍 주사는 한 가지 종류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어떤 질병을 함께 예방하느냐에 따라 종류가 나뉘며, 연령과 상황에 맞게 선택해야 합니다. 주로 접종하는 백신은 다음과 같습니다.
백신 종류 | 예방 질병 | 주요 접종 대상 |
---|---|---|
DTaP |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 영유아 및 소아의 기초 접종 |
Tdap |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성인용) | 청소년 및 성인의 첫 추가 접종, 임산부, 신생아와 접촉이 잦은 성인 |
Td | 디프테리아, 파상풍 | 성인의 10년 주기 추가 접종 |
특히 성인이 되어 처음 추가 접종을 한다면 디프테리아, 백일해까지 함께 예방할 수 있는 Tdap 백신을 맞는 것이 권장됩니다. 그 이후에는 10년마다 Td 백신으로 면역력을 유지해주면 됩니다.
가장 궁금한 파상풍 주사 가격 정보
병원마다 다른 접종 비용, 저렴한 곳은?
파상풍 주사 가격은 비급여 항목으로 병원마다 비용이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의원급(내과, 가정의학과, 소아과 등)에서는 3만 원에서 5만 원 사이의 비용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종합병원이나 응급실의 경우 비용이 더 높을 수 있습니다. 가장 저렴하게 접종할 수 있는 곳은 보건소이지만, 모든 보건소에서 접종이 가능한 것은 아니며 Td 백신만 보유하고 있을 수 있으니 방문 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정확한 비용을 비교하고 싶다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비급여 진료비 정보’ 서비스를 통해 지역별, 병원별 가격을 미리 확인해 보는 것이 현명한 방법입니다.
실비보험 청구, 가능할까요?
파상풍 주사의 실비보험 청구 가능 여부는 ‘목적’에 따라 달라집니다.
- 치료 목적 (청구 가능성 높음): 야외 활동 중 상처를 입거나 동물에게 물리는 등, 상처 감염 예방을 위해 의사의 판단하에 주사를 맞는 경우는 ‘치료’ 목적으로 간주되어 실손보험 청구가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 보험 청구를 위해 진료비 세부내역서나 진단서 등 관련 서류를 챙겨두는 것이 좋습니다.
- 예방 목적 (청구 어려움): 특별한 상처 없이 10년 주기에 맞춰 건강 유지를 위해 맞는 추가 접종은 ‘예방’ 목적으로 분류되어 보험금 지급이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접종 주기와 접종 후 주의사항
언제, 얼마나 자주 맞아야 할까?
파상풍 예방 효과를 유지하기 위한 접종 주기는 명확합니다. 소아 시기에 DTaP 기초 접종을 완료했다면, 만 11~12세에 Tdap으로 추가 접종을 하고, 이후 성인은 10년마다 Td 백신으로 추가 접종을 하는 것이 기본 원칙입니다. 만약 상처를 입었다면, 마지막 접종이 언제였는지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지막 접종 후 5년이 넘었다면 상처의 상태에 따라 추가 접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접종 후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과 관리법
파상풍 주사 접종 후에는 주사 맞은 부위가 붓거나 통증, 뻐근함, 근육통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우리 몸의 면역 체계가 항체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반응이므로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대부분 며칠 내로 증상이 완화됩니다. 접종 후에는 무리한 운동이나 음주는 피하는 것이 좋으며, 가벼운 샤워는 가능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