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도장용 세정제, 유리막 코팅 차량에 써도 될까?



새 차를 뽑고 큰맘 먹고 유리막 코팅까지 마쳤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도장면에 거뭇거뭇한 타르가 튀고, 주행 중 날아온 벌레 자국이 그대로 말라붙어 속상하신가요? 일반 세차로는 잘 지워지지 않는 찌든 때를 보며 ‘자동차 도장용 세정제를 써야 하나?’ 고민하지만, 혹시나 비싼 유리막 코팅이 손상될까 봐 섣불리 사용하기 두려우셨을 겁니다. 이런 고민, 셀프 세차를 즐기는 분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해보셨을 텐데요, 소중한 내 차를 위한 올바른 도장면 관리, 어떻게 해야 할까요?

유리막 코팅 차량, 자동차 도장용 세정제 사용 핵심 요약

  • 유리막 코팅 차량에는 가급적 연마 성분이 없는 중성 타입의 세정제 사용을 권장합니다.
  • 타르, 철분 등 특정 오염물 제거를 위해 전용 제거제를 사용할 경우, 코팅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한 부위에만 사용하고 충분히 헹궈내야 합니다.
  • 페인트 클리너 사용 후에는 저하된 발수력과 광택을 보완하기 위해 코팅 관리제나 왁스로 마무리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유리막 코팅, 왜 특별한 관리가 필요할까?

유리막 코팅은 차량의 도장면(클리어 코트) 위에 얇은 보호막을 형성하여 외부 오염 물질과 자외선으로부터 도장면을 보호하고, 뛰어난 광택과 발수 효과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이 보호막은 영구적이지 않으며, 특히 물리적인 마찰이나 강한 화학 성분에 의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자동 세차기의 거친 브러쉬나 연마 성분이 포함된 컴파운드, 강알칼리성 또는 산성 세정제는 유리막 코팅층을 깎아내거나 손상시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유리막 코팅의 수명을 오래 유지하고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 특성을 이해하고 올바른 방법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동차 도장용 세정제의 종류와 특징

셀프 세차 시 마주하게 되는 다양한 오염물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자동차 도장용 세정제는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뉩니다. 각각의 세정제는 특정 오염물을 제거하는 데 특화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법과 주의사항도 다릅니다.



세정제 종류 주요 제거 대상 특징
페인트 클리너 (페클) 묵은 때, 워터스팟, 미세한 스크래치 연마 성분 유무에 따라 종류가 나뉘며, 도장면을 매끄럽게 정리하고 본연의 색감을 복원합니다.
타르 제거제 아스팔트 타르, 접착제 잔여물 유성 오염물을 녹여 제거하는 성분으로, 대부분의 제품이 석유계 용제를 기반으로 합니다.
철분 제거제 브레이크 분진, 공기 중 철분 철분과 반응하여 보라색으로 변하며 녹여내는 원리로, 도장면에 박힌 철분을 제거합니다.
버그 클리너 벌레 자국, 새똥 단백질 분해 효소를 포함하여 벌레 사체나 새의 배설물 같은 고착된 오염물을 불려서 제거합니다.

유리막 코팅 차량에 페인트 클리너, 사용해도 괜찮을까?

가장 많이 궁금해하는 부분은 바로 ‘페인트 클리너(페클)’의 사용 가능 여부일 것입니다. 페인트 클리너는 도장면의 묵은 때와 미세한 흠집을 제거하여 도장면을 매끄럽게 만들고 광택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일부 페인트 클리너에는 연마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유리막 코팅층을 마모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리막 코팅 차량에는 연마 성분이 없는 비연마성 페인트 클리너 또는 유리막 코팅 전용으로 출시된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비연마성 페인트 클리너를 사용하더라도 너무 잦은 사용은 코팅층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워터스팟이나 찌든 때가 심해졌을 때 등 필요시에만 부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용 후에는 저하될 수 있는 발수력과 슬릭감을 보충하기 위해 유리막 코팅 관리제나 왁스, 실런트(LSP, Last Step Product)로 마무리하여 도장면을 보호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타르, 철분, 벌레 자국 등 고착 오염물 제거 방법

유리막 코팅을 했더라도 타르, 철분, 벌레 자국과 같은 고착성 오염물은 피하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오염물들은 방치할 경우 코팅층뿐만 아니라 도장면 깊숙이 파고들어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발견 즉시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타르 및 철분 제거

타르 제거제와 철분 제거제는 특정 화학 성분을 녹여내는 강력한 세정제입니다. 대부분의 제품은 유리막 코팅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지만, 제품 사용 설명서를 반드시 확인하고 사용해야 합니다. 오염된 부위에만 국소적으로 분사하고, 화학 반응이 일어날 충분한 시간을 둔 뒤 부드러운 극세사 타월로 가볍게 닦아내거나 고압수로 깨끗이 헹궈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작업 시에는 도장면이 뜨겁지 않은 서늘한 상태에서 진행해야 얼룩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벌레 자국 및 나무 수액 제거

벌레 자국이나 나무 수액은 산성을 띠는 경우가 많아 빠르게 제거해야 합니다. 버그 클리너를 오염 부위에 충분히 뿌려 불려준 뒤, 고압수로 헹궈내거나 부드러운 워시미트로 닦아냅니다. 만약 잘 지워지지 않는다면, 뜨거운 물에 적신 타월을 잠시 올려두어 오염물을 불리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중요한 것은 절대 힘을 주어 문지르지 않는 것입니다. 물리적인 힘은 코팅층과 도장면에 스크래치를 유발하는 주된 원인이 됩니다.

유리막 코팅 차량의 올바른 세차 순서 및 관리 팁

유리막 코팅의 효과를 오래 유지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세차 순서와 꾸준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 프리워시: 고압수로 큰 오염물을 1차 제거한 후, 프리워시제를 도포하여 남은 오염물을 불려줍니다.
  • 본세차: 중성 카샴푸를 사용하여 부드러운 워시미트로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부드럽게 닦아줍니다.
  • 오염물 제거: 필요한 경우, 타르 제거제, 철분 제거제 등을 사용하여 국소 부위의 고착 오염물을 제거합니다.
  • 헹굼 및 건조: 고압수로 샴푸와 약재를 깨끗이 헹궈낸 후, 부드러운 드라잉 타월로 물기를 완벽히 제거합니다.
  • 마무리 (LSP): 유리막 코팅 관리제나 퀵디테일러(QD)를 사용하여 코팅층을 보강하고 광택과 발수력을 향상시킵니다.

특히, 세차 주기를 규칙적으로 가져가는 것이 중요하며, 새똥이나 벌레 사체와 같은 오염물은 발견 즉시 제거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자동 세차는 가급적 피하고 부득이할 경우 브러쉬가 없는 노터치(No-touch) 자동 세차를 이용하는 것이 코팅층 보호에 도움이 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