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인승 SUV를 알아보고 계신가요? 넉넉한 실내 공간 때문에 패밀리카로 고려 중이지만, 막상 높은 자동차세와 부담스러운 유지비 때문에 망설여지시나요? 특히 싼타페 하이브리드나 쏘렌토 하이브리드는 좋은 선택지이지만, 너무 흔한 디자인과 긴 출고 대기 기간이 아쉽게 느껴지지는 않으셨나요? 남들과는 다른 프랑스 감성의 디자인, 뛰어난 연비, 그리고 합리적인 가격까지 갖춘 새로운 대안을 찾고 있다면, 이 글이 바로 당신을 위한 해답이 될 것입니다. 잠시 후, 푸조 5008 하이브리드가 왜 당신의 다음 패밀리카가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모든 것을 알게 되실 겁니다.
푸조 5008 하이브리드 핵심 정보 요약
- 완전히 새로워진 3세대 푸조 5008은 스텔란티스의 최신 STLA 미디엄 플랫폼을 기반으로 마일드 하이브리드(MHEV)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라인업을 갖추고 등장했습니다.
- 진화된 i-Cockpit은 21인치 파노라믹 커브드 스크린을 적용하여 미래지향적인 실내 분위기를 연출하며, 7인승 SUV로서 넉넉한 2열 및 3열 공간과 넓은 트렁크 적재 공간을 제공합니다.
- 아직 정확한 국내 출시 일정과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유럽 시장 가격을 기준으로 마일드 하이브리드는 약 6,000만 원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약 7,100만 원대로 예상됩니다.
새로운 심장과 플랫폼으로 거듭난 3세대 푸조 5008
최근 공개된 3세대 푸조 5008은 단순한 풀체인지를 넘어 새로운 시대를 여는 모델입니다. 스텔란티스 그룹의 차세대 전동화 플랫폼인 ‘STLA 미디엄’을 기반으로 제작된 최초의 7인승 SUV로, 이전 세대보다 더 커진 차체와 견고하고 정교해진 디자인이 특징입니다. 이 플랫폼은 처음부터 전기차를 고려하여 설계되었지만 내연기관과 하이브리드까지 아우르는 유연성을 자랑하며, 이는 푸조 5008이 마일드 하이브리드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그리고 순수 전기차(E-5008)까지 다양한 라인업을 갖출 수 있는 기반이 되었습니다. 특히 국내 소비자들에게 가장 매력적인 선택지는 단연 하이브리드 모델일 것입니다.
두 가지 선택지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 vs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신형 푸조 5008 하이브리드는 두 가지 파워트레인으로 운영됩니다.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MHEV) 모델은 1.2리터 퓨어텍(PureTech) 3기통 가솔린 터보 엔진과 전기 모터, 그리고 하이브리드 전용 6단 듀얼 클러치 변속기(e-DCS6)가 결합되어 최고 출력 136마력을 발휘합니다. 이 시스템은 도심 주행 시 전체 주행 시간의 약 50%를 순수 전기(EV) 모드로 주행할 수 있어 뛰어난 연비 효율을 자랑합니다.
더 강력한 성능과 친환경성을 원한다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모델이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1.6리터 퓨어텍 엔진과 전기 모터, 7단 듀얼 클러치 변속기(DCT)가 조합되어 합산 총 출력 195마력의 강력한 힘을 냅니다. 특히 완충 시 WLTP 기준으로 최대 82km까지 전기만으로 주행이 가능하여, 평일 출퇴근은 전기차처럼 이용하고 주말 장거리 여행에는 하이브리드 모드로 운행하는 효율적인 카라이프를 즐길 수 있습니다.
구분 |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 (MHEV) |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PHEV) |
---|---|---|
엔진 | 1.2 퓨어텍 가솔린 터보 | 1.6 퓨어텍 가솔린 터보 |
최고 출력 | 136마력 | 195마력 (합산) |
변속기 | 6단 듀얼 클러치 (e-DCS6) | 7단 듀얼 클러치 (DCT) |
특징 | 도심 주행 효율성 극대화 | EV 모드 최대 82km 주행 가능 |
프랑스 감성이 녹아든 디자인과 혁신적인 실내 공간
한층 더 대담하고 미래지향적인 외관
신형 푸조 5008의 디자인은 ‘사자’의 이미지를 더욱 강렬하게 표현합니다. 푸조의 새로운 엠블럼을 중심으로 그라데이션 효과를 준 그릴과 바디 컬러가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며, 사자의 발톱을 형상화한 3개의 주간주행등(DRL)과 픽셀 LED 헤드램프는 미래지향적인 인상을 완성합니다. 측면은 이전 모델보다 길어진 전장(4,790mm)과 휠베이스(2,900mm) 덕분에 더욱 안정감 있고 시원하게 뻗은 실루엣을 자랑하며, 후면 역시 사자 발톱 모양의 3D LED 리어 램프로 푸조만의 정체성을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운전자를 압도하는 파노라믹 i-Cockpit
실내 공간의 변화는 더욱 극적입니다. 푸조의 상징과도 같은 i-Cockpit이 ‘파노라믹 i-Cockpit’으로 한 단계 더 진화했습니다. GT 트림 기준으로, 헤드업 디스플레이와 중앙 터치스크린을 통합한 21인치 HD 커브드 파노라믹 스크린이 대시보드 위에 떠 있는 듯한 형태로 자리 잡아 운전자에게 압도적인 몰입감을 선사합니다. 알뤼르(Allure) 트림에는 10인치 스크린 두 개를 통합한 디스플레이가 적용됩니다. 또한,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아이-토글(i-Toggles)’과 콤팩트한 사이즈의 스티어링 휠은 직관적인 조작을 도와줍니다.
7인승 SUV의 본질, 넉넉한 공간 활용성
패밀리카로서 푸조 5008의 가장 큰 장점은 바로 공간 활용성입니다. 2열 시트는 6:4 폴딩이 가능한 벤치 슬라이딩 시트가 적용되어 넉넉한 레그룸을 확보했으며, 등받이 각도 조절도 가능해 장거리 이동 시에도 편안함을 제공합니다. 3열 좌석은 성인이 타기에는 다소 좁다는 의견도 있지만, ‘이지 액세스’ 시스템을 통해 2열 시트를 손쉽게 기울이고 앞으로 밀 수 있어 탑승이 한결 편리해졌습니다. 트렁크 공간은 기본 259리터에서 3열 시트 폴딩 시 748리터, 2열까지 모두 폴딩하면 최대 1,815리터까지 확장되어 캠핑이나 차박 등 다양한 아웃도어 활동에도 부족함이 없습니다.
싼타페, 쏘렌토 하이브리드와 비교하면 어떨까
국내 7인승 SUV 시장의 절대 강자인 싼타페 하이브리드, 쏘렌토 하이브리드와 비교했을 때 푸조 5008 하이브리드는 어떤 장단점을 가지고 있을까요?
디자인과 감성
가장 큰 차별점은 단연 디자인입니다. 싼타페와 쏘렌토가 대중적이고 익숙한 디자인을 가졌다면, 푸조 5008은 프랑스 특유의 독창적이고 세련된 디자인 감성을 자랑합니다. 특히 파격적인 실내의 파노라믹 i-Cockpit은 국산 경쟁 모델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푸조만의 강력한 무기입니다. 흔한 패밀리카 디자인에 싫증을 느낀 소비자에게 매력적인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주행 성능과 연비
주행 성능 면에서는 각기 다른 성향을 보입니다. 싼타페와 쏘렌토의 1.6 터보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부드러운 승차감과 정숙성에 초점을 맞춘 반면, 푸조는 특유의 탄탄한 하체 세팅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코너링과 핸들링 성능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연비의 경우, 현재 판매 중인 1.2 가솔린 모델의 공인 복합 연비가 12.1km/L 수준임을 감안할 때,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추가되면 이보다 향상된 효율을 보여줄 것입니다. 영국 현지 비교 테스트에서 푸조 5008 하이브리드가 기아 쏘렌토 하이브리드보다 더 높은 연비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공간 및 편의사양
절대적인 2열, 3열 공간의 거주성은 전장과 휠베이스가 더 큰 싼타페나 쏘렌토가 다소 유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푸조 5008은 각 열의 시트를 독립적으로 폴딩하고 조절할 수 있어 실제 활용성은 수치 이상의 만족감을 줄 수 있습니다.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이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현지화, AS 및 부품 수급 등은 스텔란티스 코리아와 공식 딜러사인 KCC모빌리티가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
국내 출시 일정 및 예상 가격
많은 분들이 가장 궁금해할 국내 출시 일정과 예상 가격입니다. 안타깝게도 현재까지 푸조 5008 하이브리드의 정확한 국내 출시 일정은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다만, 신형 E-5008이 올가을 글로벌 시장에 출시될 예정이므로, 하이브리드 모델 역시 비슷한 시기 또는 그 이후에 국내 도입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가장 현실적인 예상 가격은 유럽 판매가를 통해 가늠해 볼 수 있습니다. 유럽 현지 가격은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 모델이 41,160유로(약 6,000만 원)부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은 47,660유로(약 7,100만 원)부터 시작합니다. 국내 출시 시 각종 세금과 인증 비용, 옵션 구성에 따라 가격 변동이 있겠지만, 경쟁 모델인 싼타페, 쏘렌토 하이브리드 상위 트림 및 토요타 하이랜더 등과 경쟁할 수 있는 가격대로 책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구매를 고려한다면 취등록세, 자동차세 등 부대 비용과 함께 정부 및 지자체의 하이브리드 차량 보조금 정책도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