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시내 주행만 하면 울컥거리는 승차감 때문에 멀미 나신다고요? 가속 페달에서 발만 떼면 속도가 훅 줄어드는 원페달 드라이빙, 분명 편하다고 들었는데 나만 불편한 것 같아 고민이신가요? 동승자는 멀미로 고통받고, 운전자는 시내 주행 피로감에 지쳐가는 이 상황, 수많은 테슬라 신규 오너들이 겪는 문제입니다.
시내 주행 피로감을 절반으로 줄이는 비법 요약
- 테슬라의 회생 제동은 최신 소프트웨어에서 ‘끄기’나 ‘낮음’으로 변경하는 옵션이 제거되었습니다. 이는 주행 가능 거리와 전비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정책입니다.
- 차량의 ‘정지 모드’ 설정을 운전 스타일에 맞게 변경하여 정차 시 움직임을 제어하고, 울컥거림을 일부 완화할 수 있습니다.
- 가장 확실한 해결책은 ‘끄기’ 옵션을 찾는 것이 아닌, 가속 페달을 섬세하게 조작하여 감속을 스스로 제어하는 주행 습관을 들이는 것입니다.
테슬라 회생 제동, 왜 마음대로 끌 수 없을까
과거 구형 모델이나 초기 소프트웨어에서는 회생 제동 강도를 ‘표준’과 ‘낮음’ 중에서 선택할 수 있었습니다. ‘낮음’ 설정은 내연기관 차량의 주행감과 비슷해 전기차 초보 오너나 울컥거림에 불편함을 느끼는 운전자들에게 유용한 옵션이었습니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이 옵션이 사라졌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효율성 때문입니다. 회생 제동은 감속 시 발생하는 운동 에너지를 전기로 전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기차의 핵심적인 에너지 회수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최대로 활용해야 공식적인 주행 가능 거리를 달성하고 높은 전비(연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테슬라는 표준 모드를 기본값으로 강제하는 정책을 선택한 것입니다. 따라서 최신 모델 3, 모델 Y, 그리고 하이랜드나 주니퍼와 같은 신형 모델에서는 회생 제동 강도를 조절하는 기능 자체가 비활성화되어 있습니다.
회생 제동 강도 조절 대신 선택할 수 있는 대안
정지 모드 설정으로 승차감 개선하기
회생 제동 강도를 직접 조절할 수는 없지만, 차량이 완전히 정지할 때의 움직임을 설정하는 ‘정지 모드’를 통해 주행 질감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터치스크린의 ‘주행 설정’ 메뉴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각 모드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모드 | 특징 | 이런 운전자에게 추천 |
|---|---|---|
| 크립(Creep) 모드 |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면 내연기관 자동 변속기 차량처럼 아주 천천히 앞으로 움직입니다. | 내연기관차 운전에 익숙하여, 주차나 정체 구간에서 미세한 움직임을 선호하는 초보 오너. |
| 롤(Roll) 모드 | 저속에서 차량이 중립 기어처럼 자연스럽게 굴러갑니다. 경사로에서는 뒤로 밀릴 수 있습니다. | 수동 변속기 차량의 느낌을 선호하거나, 관성 주행을 활용하고 싶은 운전자. |
| 홀드(Hold) 모드 | 가속 페달에서 발을 떼면 회생 제동이 작동하여 차량을 완전히 정지시키고, 정지 상태를 유지합니다. 진정한 의미의 원페달 드라이빙을 구현합니다. | 가다 서다를 반복하는 시내 주행에서 발의 피로감을 최소화하고 싶은 운전자. |
대부분의 테슬라 오너들은 홀드 모드에 적응하여 원페달 드라이빙의 편리함을 누리지만, 울컥거림이 불편하다면 크립 모드로 변경하여 저속 주행과 주차 시의 부담을 줄여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눈길, 빙판길 주행 시 안전 확보 팁
미끄러운 노면에서 강한 회생 제동은 마치 엔진 브레이크처럼 작동하여 타이어의 트랙션(접지력)을 잃게 만들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하지만 테슬라의 트랙션 컨트롤 시스템은 각 바퀴의 토크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돕습니다. 그럼에도 눈길이나 빙판길 주행 시에는 안전을 위해 ‘회생 제동 제한 시 일반 브레이크 적용’ 옵션을 활성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기능은 배터리가 너무 차갑거나 완전히 충전되어 회생 제동이 평소보다 약하게 걸릴 때, 운전자가 이질감을 느끼지 않도록 유압 브레이크를 자동으로 사용하여 일관된 감속감을 제공합니다.
울컥거림과 멀미를 해결하는 운전 습관의 비밀
가속 페달은 ON/OFF 스위치가 아니다
테슬라 회생 제동으로 인한 울컥거림과 동승자의 멀미를 해결하는 가장 근본적인 해결책은 운전 습관에 있습니다. 가속 페달을 ‘밟는다/뗀다’는 0과 1의 디지털 스위치처럼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부드럽게 힘을 조절하는 볼륨 다이얼처럼 다루어야 합니다. 감속이 필요할 때 페달에서 발을 한 번에 ‘확’ 떼는 것이 아니라, 원하는 감속도에 맞춰 페달을 ‘지그시’ 들어 올리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섬세한 페달 컨트롤에 익숙해지면, 운전자와 동승자 모두가 편안한 승차감을 느낄 수 있으며 시내 주행의 피로감이 획기적으로 줄어듭니다. 이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기 위해 발을 옮기는 동작을 최소화하여, 결과적으로 차량 제어를 더욱 편안하게 만듭니다.
회생 제동에 대한 오해와 진실
오해 회생 제동을 쓰면 브레이크가 필요 없다?
원페달 드라이빙에 익숙해지면 브레이크 페달을 사용하는 빈도가 현저히 줄어드는 것은 사실입니다. 이는 브레이크 패드 마모를 줄여 수명을 늘리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회생 제동만으로는 돌발 상황에서의 급제동에 대응할 수 없습니다. 안전을 위해서는 항상 브레이크 페달을 사용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며, 페달 오인으로 인한 사고를 막기 위해 정차 시에는 발을 페달에서 완전히 내려놓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진실 회생 제동은 고속도로보다 시내 주행에서 더 효율적이다
회생 제동은 차량이 감속할 때 에너지를 회수하는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가속과 감속이 잦은 시내 주행 환경에서 에너지 효율, 즉 전비를 높이는 데 훨씬 더 큰 효과를 발휘합니다. 반면, 일정한 속도로 계속 주행하는 고속도로에서는 회생 제동이 개입할 기회가 적어 효율 상승 폭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